아랍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 문학은 아랍어로 쓰인 문학을 통칭하며, 이슬람교 이전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기와 장르를 포괄한다. 이슬람교의 성립과 함께 시작된 아랍 문학은 꾸란의 등장으로 큰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 시, 산문, 희곡, 철학 소설, 여행기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특히 시는 아랍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고전 시대에는 찬사, 풍자, 연애 등을 주제로 한 다양한 시가 발달했다.
이슬람 황금기에는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시와 산문이 번성했고, 알안달루스에서는 독자적인 문학이 발전했다. 근대에 들어서는 '알 나흐다' (르네상스) 운동을 통해 문학의 부흥이 일어났으며, 서구 문학의 번역과 함께 신고전주의, 낭만주의, 모더니즘 등 다양한 경향이 나타났다. 현대 아랍 문학은 정치,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며, 여성 작가들의 활약도 두드러진다. 아랍 문학은 시, 소설, 희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세계 문학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 문학 - 천일야화
《천일야화》는 인도와 페르시아 기원 설화를 바탕으로 8세기경 아랍어로 편찬되어 여러 지역에서 이야기가 더해지며 확장된 이야기 모음집으로, 샤리아르 왕의 잔혹함을 막기 위해 셰헤라자드가 이야기를 들려주는 액자식 구성과 다양한 이야기들의 중첩 구조를 가지며, 18세기 유럽에 소개된 후 세계 문학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여러 판본의 상이한 내용과 순서, 정본 부재로 기원과 형성 과정은 여전히 논쟁 중인 고전이다. - 아랍 문학 - 지혜의 집
지혜의 집은 8세기 후반부터 13세기까지 바그다드에 존재하며 이슬람 세계의 지적 중심지 역할을 한 기관으로, 그리스 학술 문헌 번역과 다양한 학문 연구를 지원하며 이슬람 황금기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몽골군의 침략으로 파괴되었고 그 중요성은 유럽 르네상스에도 영향을 미쳤다.
아랍 문학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언어 | 아랍어 |
국가 | 아랍 세계 |
시기 | 5세기부터 현재까지 |
역사 | |
초기 | 자힐리야 시대 (이슬람 이전 시대) |
이슬람 시대 | 이슬람의 확산과 함께 발전 |
압바스 왕조 시대 | 황금기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번성 |
현대 | 나흐다 운동 이후 현대 문학 발전 다양한 문학 장르와 새로운 시도 등장 |
문학 장르 | |
고전 문학 | 카시다 (송시) 마카마 (이야기) 코란 |
현대 문학 | 소설 단편 소설 시 극 에세이 전기 자서전 |
주요 문인 | |
고전 시대 | 임루 울카이스 타라파 안타라 이븐 샤다드 알무타나비 아부 누와스 |
현대 시대 | 나기브 마푸즈 타하 후세인 가산 카나파니 아도니스 |
특징 | |
운율과 언어 | 운율과 언어의 아름다움 중시 |
주제 | 사랑 용기 종교 사회 비판 애국심 |
영향 | 이슬람 문화 및 세계 문학에 큰 영향 서구 문학에 영감 제공 |
참고 자료 | |
외부 링크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아랍 문학 아랍 문학 (ArabLit) 알리프 매거진 (ALIF Magazine) |
2. 역사
아랍 문학의 역사는 시대별로 뚜렷하게 구분되어 발전해 왔다.
이슬람교 이전 시대는 자힐리야 시대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구술 문학'이 주류를 이루었다. 6세기 말부터 '쓰는 문학'이 등장하여 무알라까트와 무파달리야트와 같은 시집들이 발전했다.[3] 이 시대의 시는 운율을 갖춘 산문인 사즈아(saj')였으며, 우카즈 시장 등에서 시가 낭송되었다.[4] 아랍인들의 날들은 전투와 약탈을 다룬 가장 오래된 아랍 서술을 담고 있다.[5]
꾸란은 아랍어와 아랍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꾸란의 언어는 고대 아랍어와 근대 아랍어의 분기점으로 여겨지며, 그 형식은 오늘날까지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초기 꾸란 작업은 아랍어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6,236개의 아야트와 114개의 수라로 구성되어 있다. 꾸란은 운문과 산문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지만, 신성한 계시로 숭앙되어 특정 형식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일부 무슬림은 꾸란을 '창조되지 않은 것'으로 여기며, 이는 누구도 꾸란을 모방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이자즈(i'jaz)의 독트린으로 이어진다.
하디스는 무함마드의 언행과 행적에 대한 성전(聖傳)으로 중요한 문학적 가치를 지닌다. 무함마드의 행적과 언행을 기록한 순나는 무슬림 알하자즈와 무함마드 이븐 이즈마일 알부카리의 기록을 포함한다.[4][6]
압바스 왕조 시대에는 도시화와 함께 시와 문예 장르가 증가했다.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아부 누와스, 아부 알아타히야, 아부 앗타이브 알무타나비 등 많은 시인들이 활동했으며, 산문 분야에서는 알자히즈가 다양한 작품을 집필했다. 알안달루스라고 불린 이베리아 반도의 코르도바의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는 이븐 자이둔 등이 활약하며 아랍어 문예가 발전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아슈-샤브 아드-다리프, 알-부시리, 이븐 알-와르디, 사피 알-딘 알-힐리, 이븐 누바타 등 여러 시인들이 활동했다.[4] 압드 알-가니 알-나불시는 신학과 여행 등 다양한 주제로 저술했다.
19세기에는 아랍 문학과 문화 전반에 걸쳐 '알 나흐다'라고 불리는 부흥 운동이 일어났다.[17] 리파아 앗타흐타위, 아흐마드 파리스 알시디야크, 나시프 알야지지, 무함마드 알무와일리히와 같은 작가들은 아랍 문학 유산과 전통의 부활을 추구했다.[17] 외국 문학 번역도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리파아 앗타흐타위는 카이로에 알 알순 학교를 설립하여 번역을 장려했다. 20세기에는 자브라 이브라힘 자브라가 윌리엄 셰익스피어 등 여러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했다.
아랍 르네상스 시대에는 프란시스 마라시, 아흐메드 샤우키, 하피즈 이브라힘 등의 시인들이 고전적인 시 형식을 발전시켰다.[18][19] 마흐자르 시인들은 아랍 시의 가능성을 실험했으며, 이러한 실험은 20세기 전반에 걸쳐 중동 전역에서 계속되었다.[20]
20세기 전반, 아랍 세계의 변화하는 정치적, 사회적 분위기는 다양한 장르의 문학에 반영되었다. 반제국주의 정서가 두드러졌고, 작가들은 서구와의 관계를 탐구했다. 전간기에는 타하 후세인, 타우피크 알-하킴 등의 작가들이 활동했으며, 산업화와 도시화의 증가로 인한 갈등이 문학의 주요 주제로 다루어졌다.[1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유시(''shi'r hurr'')를 쓰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산문시로 대체되었다. 바드르 샤키르 알사야브와 나지크 알말라이카는 아랍 시에서 자유시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모더니즘 시의 발전 또한 아랍 시에 영향을 미쳤으며, 최근에는 아두니스와 같은 시인들이 실험적인 시를 선보이고 있다.
나흐다 시대에는 과거의 문학 전통을 재발견하려는 신고전주의 운동과 서구 근대주의 작품을 번역하는 근대주의 운동이 나타났다. 19세기에는 고전적인 서사 장르를 모방한 독창적인 작품들이 창작되었으며, 주르지 자이단, 칼릴 지브란, 미카일 나이마 등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
현대 아랍 소설의 공통된 주제는 가족 생활에 대한 연구이며, 많은 소설들이 지역의 정치적 갈등을 다루었다. 나기브 마후푸즈는 카이로의 삶을 묘사한 작품으로 1988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2. 1. 이슬람 이전 시대 (자힐리야 시대)
이슬람교 이전 시대는 무슬림들에게 자힐리야 혹은 무지의 시기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에는 '구술 문학'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6세기 말부터 '쓰는 문학'이 꽃피기 시작했다. 이러한 '쓰는 문학'의 전통은 무알라까트(Mu'allaqat)와 무파달리야트(Mufaddalyat)와 같은 시집들과 함께 두 세기 동안 화려하게 발전했다.[3]20세기 이전의 아랍 문학에서 시가는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때의 시가는 운율을 갖춘 산문인 사즈아(saj')였다. 이슬람 이전 아랍 시가는 ''알-시르 알-자힐리''(al-shiʿr al-Jāhilī), 즉 "자힐리야 시대의 시가"로 불린다.[3]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에서는 수크 우카즈를 비롯한 여러 시장에서 시가 낭송되었고, 메카의 수크 우카즈를 장악한 꾸라이쉬 족의 방언이 우세해졌다.[4] ''아랍인들의 날들''은 운문과 산문이 섞인 혼합 형식의 이야기로, 전투와 약탈에 초점을 맞춘 가장 오래된 아랍 서술을 담고 있다.[5]

이슬람 이전 시대의 주목할 만한 시인으로는 아부 릴라 알-무할헬(Abu Layla al-Muhalhel)과 알-샨파라(Al-Shanfara)가 있다.[4] 무알라까트(Mu'allaqat)의 시인들인 임루 알-카이스(Imru' al-Qais), 타라파 이븐 알-'압드(Tarafah ibn al-‘Abd), 우바이드 이븐 알-아브라스(Abid Ibn al-Abrass), 하리스 이븐 힐리자(Harith ibn Hilliza), 아므르 이븐 쿨툼(Amr ibn Kulthum), 주하이르 이븐 아비 술마(Zuhayr ibn Abi Sulma), 알-나비가 알-주비야니(Al-Nabigha al-Dhubiyānī), 안타라 이븐 샤다드(Antara Ibn Shaddad), 알-아샤 알-악바르(al-A'sha al-Akbar), 라비드 이븐 라비아(Labīd ibn Rabī'ah)도 있었다.[4]
알-한사(Al-Khansa)는 리싸(rithā) 또는 애가(elegy) 시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4] 알-후타이아(al-Hutay'a)는 마디흐(madīh) 또는 찬사(panegyric)뿐만 아니라 히자'(hijā') 또는 풍자시(invective)로도 유명했다.[4]
이슬람 이전 시대에는 아랍 유목 부족들 사이에서 많은 뛰어난 시인들이 활약했다. 시인들은 애정, 여정의 고난, 명예와 업적 찬양, 부족 간의 전투, 적에 대한 비방 등을 노래했고, 뛰어난 시는 구전을 통해 전해졌다.
6세기에는 아부 릴라 알-무할헬(Abu Layla al-Muhalhel)에 의해 카시다(Qasida)라는 시 형식이 창안되어 번성했다. 운율을 강조하는 산문체인 사주(Saj')도 이 시대에 원형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나중에 기록되어 문자로 남게 된 고시들은 시인, 부족, 계급 등을 기준으로 정리되었다. 그중에서도 유명한 명시선으로는 7대 시인의 장시를 모아 놓은 무알라까트(Mu'allaqat)와 무파달리야트(Mufaddaliyat)가 있다.
2. 2. 이슬람 시대
꾸란은 아랍어에 큰 영향을 미쳤다. 꾸란에 사용된 언어는 고대 아랍어 또는 근대 아랍어의 분기점으로 여겨지며, 그 형식은 오늘날까지도 찬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초기 꾸란 작업은 아랍어의 초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6,236개의 아야트(ayat)와 114개의 수라(sura)로 구성되어 있다. 꾸란에는 신의 명령, 이야기, 설교, 우화, 신으로부터 전해진 말씀, 교훈 등이 담겨 있으며, 직설적인 비유를 통해 감동을 준다.꾸란은 운문과 산문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지만, 신성한 계시로 숭앙되기 때문에 어느 한 형식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일부 무슬림은 꾸란을 '창조되지 않은 것'으로 여기며, 이는 이자즈(i'jaz)의 독트린으로, 누구도 꾸란을 모방하거나 재창조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자즈의 독트린은 아랍 문학에 어느 정도 제한을 가했다. 꾸란은 26번째 수라에서 시인을 비판하며, 이는 이슬람 이전 시가에 대한 우월성을 나타낸다. 예외적으로 무함마드의 격려 속에 하산 이븐 타비트가 쓴 시는 '예언자의 시'라고 불린다. 성경처럼 꾸란도 아랍 문학과 언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모든 아이디어의 원천이자 도덕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꾸란 외에 하디스는 무함마드의 언행과 행적에 대한 성전(聖傳)으로 중요한 문학적 가치를 지닌다. 무함마드의 행적과 언행을 적은 기록은 순나(sunnah)라고 불리며, 무슬림 알하자즈(Muslim ibn al-Hajjaj)와 무함마드 이븐 이즈마일 알부카리(Muhammad ibn Isma'il al-Bukhari)에 대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다.

꾸란은 이슬람의 주요 종교 경전으로, 이슬람 문학의 시작을 알렸다. 무슬림들은 꾸란이 무함마드의 부족인 쿠라이시 부족의 아랍 방언으로 기록되었다고 믿는다.[4][6] 이슬람이 퍼져 나가면서 꾸란은 아랍어를 통일하고 표준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4] 꾸란은 114개의 수라(장)와 6,236개의 아야트(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명령, 서술, 설교, 비유, 신으로부터의 직접적인 말씀, 지시 사항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다층적인 은유로도 높이 평가받는다. 메카 수라 92개는 히즈라 이전 메카에서 무함마드에게 계시된 것으로, "종교의 원리"를 주로 다룬다. 메디나 수라 22개는 히즈라 이후에 계시된 것으로, 샤리아와 이슬람 생활의 규정을 다룬다.[4]
"꾸란"이라는 단어는 "그는 읽었다" 또는 "그는 암송했다"라는 뜻의 아랍어 어근 qaraʼa (قرأ)에서 유래한다. 초기에는 구전으로 전달되었으며, 아부 바크르(573-634)에 의해 편찬되었고, 우쓰만(576-656) 치하에서 통일된 ''마사히프'' 또는 꾸란 사본으로 최초로 필사되었다.[4] 꾸란은 사즈 또는 운문 산문에 가장 가깝지만, 신의 계시로 여겨지며 무슬림들은 그것을 영원하거나 '창조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 이는 꾸란의 ''이자즈'' 또는 모방 불가능성이라는 교리로 이어진다. 꾸란은 26번째 수라(아슈-슈아라 또는 시인들)에서 신성 모독적인, 음란한, 죄악된 행위를 칭찬하거나 꾸란의 내용과 형식에 도전하는 시는 무슬림에게 금지되어 있다고 명시한다.
8세기까지는 중요한 시인이 부족했다. 주목할 만한 예외는 무함마드를 칭찬하는 시를 쓰고 "예언자의 시인"으로 알려진 하산 이븐 타빗이다. 꾸란은 많은 사상, 암시, 인용의 근원이며, 그 도덕적 메시지는 많은 작품에 영향을 준다. 꾸란 외에도 무함마드가 말하고 행했다고 여겨지는 전통인 하디스는 중요한 문학이다. 순나 또는 방식이라고 하며, ''사히흐'' 또는 진정한 것으로 간주되는 것들은 하디스에 수집된다. 가장 중요한 하디스 모음집 중 일부는 무슬림 이븐 알-하자즈와 무함마드 이븐 이스마일 알-부하리의 저서를 포함한다. 꾸란 연구에서 다른 중요한 장르는 타프시르 또는 주석이다. 종교와 관련된 아랍 저술에는 많은 설교와 헌신적인 작품뿐만 아니라 10세기에 ''나흐즈 알-발라가'' 또는 ''웅변의 정점''으로 수집된 알리의 말씀도 포함된다.
라시둔 시대에는 히자즈(Hejaz), 레반트 지역의 다마스쿠스(Damascus), 이라크의 쿠파(Kufa)와 바스라(Basra) 등지에 문학 중심지가 발달했다.[4] 이 시대의 문학 작품, 특히 시는 이슬람의 전파에 기여했다.[4] 용감한 전사들을 칭송하고, 지하드(jihad)에서 군인들에게 영감을 주는 시가 있었으며, 전투에서 전사한 이들을 애도하는 리싸(Rithā')도 있었다.[4] 이 시대의 주목할 만한 시인으로는 카브 이븐 주하이르(Ka'b ibn Zuhayr), 하산 이븐 타빗(Hasan ibn Thabit), 아부 주아이브 알-후달리(Abu Dhū'īb al-Hudhalī), 나비가 알-자아디(Nābigha al-Ja‘dī)가 있다.[4] 또한, 가잘(ghazal) 형식의 오락용 시도 있었다.[4] 이 운동의 주요 인물로는 자밀 이븐 마마르(Jamil ibn Ma'mar), 라일라 알-아키얄리야(Layla al-Akhyaliyya), 우마르 이븐 아비 라비아(Umar Ibn Abi Rabi'ah)가 있다.[4]
제1차 피트나(First Fitna)는 시아파-수니파 분열(Shia–Sunni split)을 야기하며 아랍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4] 무함마드 시대와 라시둔 칼리파 시대에는 아랍 문학과 아랍 사회가 크게 중앙 집권화되었지만, 우마이야 칼리파 시대 초기에 권력 투쟁이 부족주의(tribalism)로 이어지면서 분열되었다.[4] 이 시대의 아랍 문학은 자힐리야 시대(Jahiliyyah, ''al-Jahiliyyah'')로 회귀하여 쿠파(Kufa) 근처 키나사 시장(Souq of Kinasa)과 바스라(Basra) 근처 미르바드 시장()과 같이 정치 세력과 부족을 칭찬하거나 비난하는 시가 낭송되는 곳이 생겨났다.[4] 우마이야 칼리파 시대에 시인들과 학자들은 지원과 후원을 받았지만, 이 시대의 문학은 당파와 개인의 이익을 섬기는 데 국한되어 자유로운 예술 형식은 아니었다.[4]
이러한 정치 시가의 주목할 만한 작가로는 알-악탈 알-타글리비(Al-Akhtal al-Taghlibi), 자리르 이븐 아티야(Jarir ibn Atiyah), 알-파라즈닥(Al-Farazdaq), 알-쿠마이트 이븐 자이드 알-아사디(Al-Kumayt ibn Zayd al-Asadi), 티림마 빈 하킴(), 우바이달라 이븐 카이스 알-루키야트() 등이 있다.[4] 또한 알-아자즈()와 루우바 빈 알-아자즈()가 능숙하게 다룬 라자즈(Rajaz, ''rajaz'') 형식의 시와 알-라위야트(ar-Rā'uwīyyāt) 즉 목가시(pastoral poetry)가 있었는데, 알-라위 안-나미리()와 주 알-룸마(Dhu ar-Rumma)가 이 분야의 대가였다.[4]
무함마드의 삶과 시대에 대한 연구, 그리고 진정한 순나를 규명하는 것은 아랍어에 대한 학문 연구의 중요한 초기 이유였다. 이는 이슬람 이전 시대의 시를 수집한 이유이기도 했다. 몇몇 시인들은 예언자와 가까웠기 때문이다(예: 라비드(Labīd)는 무함마드를 만나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그들의 작품은 이러한 사건들이 일어난 시대를 밝혀주었다. 무함마드는 또한 최초의 아랍어 전기인 '알 시라 알 나바위야(A''l-Sirah Al-Nabawiyyah)'를 고무시켰다. 가장 초기의 전기는 와브 이븐 무나비(Wahb ibn Munabbih)가 썼지만, 무함마드 이븐 이스하크(Muhammad ibn Ishaq)가 쓴 것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예언자의 삶을 다루면서 초기 이슬람의 전투와 사건들을 이야기하고, 오래된 성서 전통에 대한 많은 여담을 담고 있다.
아랍어 연구에 관한 초기 작품 중 일부는 이슬람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전통에 따르면 칼리프 알리는 오류가 있는 꾸란 사본을 읽은 후 아부 알 아스와드 알 두알리(Abu al-Aswad al-Du'ali)에게 아랍 문법을 체계화하는 저술을 요청했다. 칼릴 이븐 아흐마드(Khalil ibn Ahmad)는 나중에 최초의 아랍어 사전인 '키타브 알 아인(Kitab al-Ayn)'을 비롯하여 운율과 음악에 관한 저술을 집필했고, 그의 제자인 시바웨이(Sibawayh)는 단순히 '알 키타브(al-Kitab)' 또는 '책(The Book)'으로 알려진 가장 존경받는 아랍 문법 저술을 남겼다.
압드 알 멀리크 이븐 마르완(Abd al-Malik ibn Marwan)이 새로운 제국의 행정을 위해 아랍어를 공용어로 만든 후 다른 칼리프들도 그 뒤를 따랐다. 예를 들어 알 마문(al-Ma'mun)은 연구와 번역을 위해 바그다드(Baghdad)에 바이트 알 히크마(Bayt al-Hikma)을 설립했다. 바스라(Basrah)와 쿠파(Kufa)는 초기 아랍 세계의 또 다른 중요한 학문의 중심지였으며, 두 도시 간에는 강한 경쟁이 있었다.
주로 이슬람 종교를 더욱 철저히 조사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들은 다른 많은 과목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역할을 했다. 칼리프 히샴 이븐 압드 알 멀리크(Hisham ibn Abd al-Malik)는 학자들에게 작품을 아랍어로 번역하도록 지시하여 문학을 풍요롭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아마도 최초의 번역은 살름 아부 알 알라(Salm Abu al-'Ala')가 번역한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와 알렉산더 대왕(Alexander the Great)의 서신일 것이다. 동쪽에서는, 그리고 매우 다른 문학 장르에서, 학자 압둘라 이븐 알 무카파(Abdullah Ibn al-Muqaffa)가 판차탄트라(Panchatantra)의 동물 우화를 번역했다. 이러한 번역은 유럽의 암흑기 동안 학문과 학습, 특히 고대 그리스의 학문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 작품들은 종종 아랍어 판본을 통해 유럽에 처음으로 다시 소개되었다.
이슬람의 확산에 따라, 코란은 아랍어 측면에서도 뛰어난 경전으로 읽히게 되었고, 다양한 민족들이 아랍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코란을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 바스라와 쿠파에서는 아랍어 연구도 이루어졌다. 정통 칼리파와 우마이야 왕조 시대를 거치면서 아랍어권은 페르시아와 이집트로 확대되었고, 아프리카로 침투하였다.
2. 2. 1. 압바스 왕조 시대
압바스 왕조 시대에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시를 비롯한 문예 장르가 증가하였다.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많은 시인들이 활동했으며, 아부 누와스, 아부 알아타히야, 아부 앗타이브 알무타나비 등의 대시인이 등장했다. 산문 분야에서는 알자히즈가 풍자적인 관찰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을 집필하였다.2. 2. 2. 알안달루스 (이슬람 스페인)
코르도바의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이베리아 반도에서 아랍어 문예가 활발해졌고, 알안달루스라고 불린 지역에서는 이븐 자이둔 등이 활약하였다.2. 3.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 시대의 중요한 아랍 시인으로는 아슈-샤브 아드-다리프(الشاب الظريف|아슈-샤브 아드-다리프ar), 「부르다(Al-Burda)」의 저자인 알-부시리, 이븐 알-와르디(1349년 사망), 사피 알-딘 알-힐리, 이븐 누바타 등이 있다.[4] 압드 알-가니 알-나불시는 신학과 여행을 포함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저술했다.2. 4. 근대 (나흐다)
19세기 동안 아랍 문학과 아랍 문화 전반에 걸쳐 부흥이 일어났는데, 아랍어로 "알 나흐다(al-Nahda)"라고 하며, "르네상스"를 의미한다.[17] 나흐다에는 리파아 앗타흐타위(Rifa'a at-Tahtawi), 아흐마드 파리스 알시디야크(Ahmad Faris al-Shidyaq), 나시프 알야지지(Nasif al-Yaziji), 무함마드 알무와일리히(Muhammad al-Muwaylihi)와 같은 작가들 사이에서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경향이 있었는데, 이들은 아랍 문학 유산과 전통의 ''이흐야(iḥyāʾ)'' 즉 "소생"을 믿었다.[17]
외국 문학 번역은 나흐다 시대의 주요 요소였다. 19세기 중요한 번역가 중 한 명은 리파아 앗타흐타위(Rifa'a al-Tahtawi)였는데, 그는 1835년 카이로에 알 알순 학교(Madrasat al-Alsun)(또는 ''번역 학교(School of Translators)''로 알려짐)를 설립했다. 20세기에는 주로 바그다드에 살았던 팔레스타인-이라크 지식인 자브라 이브라힘 자브라(Jabra Ibrahim Jabra)가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사뮤엘 베케트(Samuel Beckett), 윌리엄 포크너(William Faulkner) 등 많은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했다.
아랍어로 된 새로운 글쓰기의 부흥은 20세기까지 주로 시리아(Syria), 이집트(Egypt), 레바논(Mount Lebanon Mutasarrifate)의 도시에 국한되었지만, 그 후 지역의 다른 국가로 확산되었다. 이 문화 부흥은 아랍 세계 내부뿐 아니라 외부에서도 느껴졌으며, 아랍 작품을 유럽 언어로 번역하는 데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시에서 아랍어 사용이 부활했지만, 이전 문학을 매우 화려하고 복잡하게 만드는 데 기여했던 많은 수사법(Trope (linguistics))은 사라졌다.
8세기에 고대 그리스어 및 기타 문학을 번역하는 운동이 아랍 문학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했던 것처럼, 이 시대의 또 다른 번역 운동은 아랍 문학에 새로운 아이디어와 자료를 제공했다. 초기 성공작 중 하나는 ''몽테 크리스토 백작(The Count of Monte Cristo)''이었는데, 이는 유사한 아랍 주제를 다룬 수많은 역사 소설(historical novel)을 촉진했다. 주르지 자이단(Jurji Zaydan)과 니콜라 하다드(Niqula Haddad)는 이 장르의 중요한 작가였다.[17]

아랍 르네상스 시대에 프란시스 마라시(Francis Marrash), 아흐메드 샤우키(Ahmad Shawqi), 하피즈 이브라힘(Hafiz Ibrahim) 등의 시인들은 고전적인 시 형식을 발전시킬 가능성을 모색하기 시작했다.[18][19] 이러한 신고전주의 시인들 중 일부는 서구 문학에 정통했지만 대부분 고전적인 형식으로 계속해서 작품을 썼고, 다른 시인들은 고전 시와 그 반복되는 주제에 대한 무분별한 모방을 비난하면서[26] 프랑스 또는 영국의 낭만주의에서 영감을 얻으려고 했다.
다음 세대의 시인들, 소위 낭만주의 시인들은 서구 시의 발전의 영향을 훨씬 더 크게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전 세대가 유지하려고 노력했던 신고전주의 전통에 얽매였다고 느꼈다. 마흐자르(Mahjar) 시인들은 주로 미주에서 활동한 이민 시인들이었지만, 아랍 시의 가능성을 더욱 실험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실험은 20세기 전반에 걸쳐 중동 전역에서 계속되었다.[20]
아랍 르네상스 또는 "르네상스"의 저명한 시인들로는 나시프 알-야지지(Nasif al-Yaziji)[4], 마흐무드 사미 엘바루디(Mahmoud Sami el-Baroudi), 하피즈 이브라힘(Hafez Ibrahim)[4], 아흐메드 샤우키(Ahmed Shawqi)[4], 자밀 시드키 알자하위(Jamil Sidqi al-Zahawi), 마루프 알 루사피(Maruf al Rusafi), 칼릴 무트란(Khalil Mutran)이 있다.[4]
2. 5. 현대
20세기 전반에 걸쳐 아랍 세계의 변화하는 정치적, 사회적 분위기는 시, 산문, 희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반영되었다. 20세기 초에는 반식민지 정서가 두드러졌고, 작가들은 서구와의 관계를 탐구했다. 내부 정치적 격변은 작가들에게 검열이나 박해와 같은 어려움을 안겨주기도 했다.[17]전간기에는 타하 후세인, 이브라힘 알-마지니, 아바스 마무드 알-아카드, 타우피크 알-하킴과 같은 작가들이 활동했다.[17] 알-하킴의 1934년 작품 عودة الروح (رواية)|아우다트 알-루흐|ar에서 고통의 수용은 신흥 중산층의 이상주의에 대한 실망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이다.[17] 산업화와 도시화의 증가로 인해 "서구의 물질주의 대 동양의 영성", "진보적인 개인 대 후진적이고 무지한 사회", "도시 대 농촌의 분열"과 같은 이분법적 갈등은 이 시대 이후 문학의 공통된 주제였다.[17]
마흐무드 사이드의 ''빈 바르카 앨리''와 ''나는 사담 시티를 본 자이다''처럼 많은 현대 아랍 작가들이 있다. 다른 현대 작가로는 정부 비판적인 의견으로 투옥되었던 소날라 이브라힘과 압둘 라흐만 무니프가 있다. 동시에 정부를 지지하거나 칭찬하는 작품을 쓴 작가들은 문화 기관 내에서 권력을 얻기도 했다. 논픽션 작가와 학자들은 아랍 정치를 재구성하기 위한 정치적 논쟁과 비판을 제시했다. 가장 잘 알려진 작가 중에는 이집트 민족주의의 중요한 작품인 타하 후세인의 ''이집트 문화의 미래''와 여성 권리 운동을 벌였던 나왈 엘 사다위의 작품이 있다. 수단 출신의 타예브 살리와 팔레스타인 출신의 가산 카나파니는 외세와 국내 권력과의 관계에서 정체성을 탐구한 작가들이다.[1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여러 시인들이 자유시(''shi'r hurr'')로 시를 쓰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대체로 성공적이지 못했다. 이라크 시인 바드르 샤키르 알사야브와 나지크 알말라이카는 아랍 시에서 자유시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이러한 실험 대부분은 산문시로 대체되었는데, 현대 아랍 문학에서 최초의 산문시 사례는 프랜시스 마라시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27] 나지크 알말라이카와 이만 메르살이 가장 영향력 있는 지지자 중 두 명이었다. 모더니즘 시의 발전 또한 아랍 시에 영향을 미쳤다. 최근에는 아두니스와 같은 시인들이 스타일 실험의 경계를 더욱 넓히고 있다.
범아랍주의를 주제로 한 고전 아랍 스타일의 현대 시의 한 예로 아지즈 파샤 아바자의 작품을 들 수 있다. 그는 이스마일 파샤 아바자, 페크리 파샤 아바자, 소설가 타르와트 아바자 등 저명한 아랍 문학 인물을 배출한 아바자 가문 출신이다.[28][29]
시는 아랍 세계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마흐무드 다르위시는 팔레스타인의 국가 시인으로 여겨졌으며, 그의 장례식에는 수천 명의 조문객이 참석했다. 시리아 시인 니자르 카바니는 정치적 주제보다는 덜 다루었지만 문화적 아이콘으로 여겨졌으며, 그의 시는 많은 인기 있는 노래의 가사를 제공했다.
나흐다 시대에는 두 가지 뚜렷한 경향이 나타났다. 첫 번째는 과거의 문학 전통을 재발견하려는 신고전주의 운동이었고, 마카마와 같은 전통적인 문학 장르와 『천일야화』와 같은 작품의 영향을 받았다. 반면, 근대주의 운동은 서구 근대주의 작품, 주로 소설을 아랍어로 번역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19세기에 시리아, 레바논, 이집트의 개별 작가들은 고전적인 서사 장르를 모방하여 독창적인 작품을 창작했다. 아흐마드 파리스 시디야크의 『다리 위에 다리』, 칼릴 쿠리의 『그래… 그러니 나는 프랑스인이 아니다』, 프란시스 마라시의 『진실의 숲』, 부트루스 알-부스타니의 살림 알-부스타니의 『레반트 정원에서 길을 잃다』, 무함마드 알-무와일리히의 『이사 이븐 히샴의 이야기』 등이 그 예이다.[30] 이러한 경향은 주르지 자이단(많은 역사 소설의 저자), 칼릴 지브란, 미카일 나이마, 무함마드 후세인 하이칼(『자이납』의 저자)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 한편, 여성 작가 자이납 파와즈의 첫 소설인 『후스널 아와키브 아우 가다 알자히라』(『행복한 결말』, 1899)도 영향력이 있었다.[31]
현대 아랍 소설의 공통된 주제는 가족 생활에 대한 연구이다. 많은 소설들이 지역의 정치적 갈등을 피할 수 없었으며, 전쟁은 종종 친밀한 가족 드라마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나기브 마후푸즈의 작품은 카이로의 삶을 묘사하며, 3대에 걸친 현대 카이로 가족의 투쟁을 묘사한 그의 『카이로 3부작』은 1988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게 해 주었다. 그는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최초의 아랍 작가였다.
3. 주요 장르
꾸란은 아랍어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꾸란에 사용된 언어는 고대 아랍어와 근대 아랍어를 나누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꾸란은 초기 아랍어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6,236개의 아야트(ayat)와 114개의 수라(sura)로 구성되어 있다. 꾸란에는 신의 명령, 이야기, 설교, 우화, 신의 말씀, 교훈 등이 담겨 있으며, 직설적인 비유를 통해 감동을 주기도 한다.
꾸란은 운문과 산문의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지만, 신성한 계시로 숭앙받기 때문에 특정 장르로 분류되지 않는다. 일부 무슬림들은 꾸란을 궁극적이고 창조되지 않은 것으로 여기며, ''이자즈'' 교리에 따라 누구도 꾸란을 모방하거나 재창조할 수 없다고 믿는다. ''이자즈'' 교리는 아랍 문학에 어느 정도 제약을 가했는데, 특히 꾸란은 26번째 수라인 아쉬 슈아라(Ash-Shu'ara)에서 시인들을 비판하기도 했다.
꾸란은 6세기 이슬람 이전 시가(詩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당시 사람들은 꾸란과 기존 시가의 우열을 논하기도 했다. 예외적으로 무함마드의 격려 속에 하산 이븐 타비트가 쓴 시는 '예언자의 시'라고 불리며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꾸란은 모든 아이디어의 원천이자 인용의 대상이며, 도덕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꾸란 외에 하디스 또는 무함마드의 언행과 행적에 대한 성전(聖傳)은 중요한 문학적 가치를 지닌다. 무함마드의 행적과 언행을 기록한 것을 수나(sunnah)라고 하며, 무슬림 알하자즈와 무하메드 이븐 이즈마일 알부카리의 기록이 하디스의 주요 부분에 포함되어 있다. 20세기 이전 아랍 문학에서 시가는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운율을 갖춘 산문인 사즈아(saj') 형태였다.
파티마 알피흐리가 859년 모로코 페스에 설립한 알카라위인 대학교는 세계 최초의 대학교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으며, 알모라비드 왕조의 후원을 받으며 지역 문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2] 이 대학교에서는 이븐 칼둔, 알비트루지, 이븐 히르지힘(시디 하라짐), 이븐 알카티브, 알와잔(레오 아프리카누스), 마이모니데스 등 저명한 학자들이 공부하고 가르쳤다.[12] 무함마드 알자줄리의 기도서 『달라일 알카이라트(Dala'il al-Khayrat)』와 같은 수피 문학도 이 지역의 문학 및 지적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3][14]
16세기 사아디 왕조의 지단 아부 말리 술탄의 도서관인 자이다니 도서관은 스페인 사략선에 의해 약탈당하여 에스코리알 수도원에 보관되었다.[15] 맘루크 왕조 시대에는 이븐 압드 알 자히르와 이븐 카티르가 주목할 만한 역사가들이었다.[16]
3. 1. 시가
아랍어는 어휘와 음악적인 강세가 운을 짓기에 적합하여, 일찍부터 운율이 발달했고, 자힐리야 시대부터 많은 것을 계승하고 있다. 고전 아랍어 시는 수십 행, 때로는 백 행을 넘는 다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며, 각 행은 전반과 후반으로 나뉘어 대구를 이룬다. 각 구절은 개음절과 폐음절로 구성되고, 그 조합으로 기본형이 정해지며, 점차 응용형도 생겨나 발전해 갔다. 시의 장르에는 비가(리스ā, رثاء), 풍자시(히자ー, هجاء), 찬사시(마디프, مديح), 무용시(함마사, حمّاسه), 연애 서정시(나시브, نسيب), 연애시(가잘(غزل)), 서경시(와스프, وصف), 주락시(함리야트, خمريات) 등이 있다.우마이야 칼리파 왕조를 대표하는 시인으로는 메카 출생으로 연애시를 창조한 우마르 이븐 아비 라비아 외에, 애정시로 유명한 알 파라즈다크, 풍자시인 자리르, 기독교도인 알 아프탈의 3대 시인이 있다.
압바스 칼리파 왕조가 되면 당시 세계 최대급 도시였던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많은 시인들이 활동했고, 아부 누와스, 아부 알아타히야, 아불타이브 무타나비 등의 대시인이 나타났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방대한 시를 편찬하는 사람들도 많았고, 문인 알 사알리비는 주목할 만한 시인과 그 시풍을 『야티마트 알 다훌』(اليتيمة)에서 소개하고, 시와 대화에 나오는 고사와 전설을 『마나키브』(المنتخب من مناقب)에 정리했다. 또한, 아부 알 파라지 알 이스파하니는 시와 가요, 음악에 관한 대저 『아간의 책』(كتاب الاغاني)을 남겼다. 이러한 문헌에 의해 10세기까지의 시와 시인들이 기록되어 있다.
안달루시아의 시인으로는 이븐 압드랍비히, 많은 상문가를 남긴 궁정 시인 이븐 자이둔, 여러 나라를 방랑한 시인 이븐 쿠즈만, 연애론의 명저 『비둘기의 목걸이』(طوق الحمامة)를 남긴 법학자 이븐 하즘 등이 알려져 있다. 안달루시아의 아랍어 문예는 히브리어에도 영향을 주었고, 아랍어 시의 운율을 도입한 두나시 벤 라브라트나 아랍어를 참고하여 히브리어의 서사시를 부흥시킨 슈무엘 이븐 나그렐라, 『하자르의 책』(ספר הקבלה)으로도 알려진 예후다 할레비 등이 활동했다.
안달루시아에서는 고전 아랍어 시를 바탕으로 한 무와샤하라는 시형도 탄생했다. 이 이름은 아랍어로 "장식 고리"나 "장식 띠"를 가리키는 위샤프(وشاح)에서 유래하며, 그때까지 단일 운율이었던 시를 연절로 분해하여 후렴으로 구성했다. 시형을 가리키는 무와샤하는 점차 음악과 무용을 수반하는 표현을 의미하게 되었고, 그 가수는 키얀(قِيَان)이라고 불렸다. 바그다드의 음악가 이스하크 알 마우실리에게 파문당한 가수 지리야브는 안달루시아에 동방의 음악을 전하고, 더욱 독자적인 음악 문화를 만들어냈다. 우드(عود)의 현을 4현에서 5현으로 바꾸어, 후의 류트(lute)의 원형이 되기도 했다.
근대 이후의 시인으로는 아랍어 시에 영향을 받으면서 미국으로 이주한 칼릴 지브란, 이라크에서 자유시 운동을 주창한 나지크 알말라이카, 팔레스타인을 대표하는 시인 마흐무드 다르위시, 시리아 출신으로 레바논과 프랑스에서도 활동하는 아도니스 등이 알려져 있다. 정치와 사회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는 시도 많이 쓰이게 되었다.
3. 2. 산문
꾸란은 이슬람의 주요 종교 경전으로 아랍어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슬람 문학의 시작을 알렸다. 무슬림들은 꾸란이 무함마드의 부족인 쿠라이시 부족의 아랍 방언으로 기록되었다고 믿는다.[4][6] 이슬람이 퍼져나가면서 꾸란은 아랍어를 통일하고 표준화하는 데 기여했다.[4]
꾸란은 114개의 수라(장)와 6,236개의 아야트(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명령, 서술, 설교, 비유, 신의 말씀, 지시 사항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명료함과 더불어 다층적인 은유로도 높이 평가받는다.
꾸란은 운문과 산문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여 사즈에 가깝지만, 신성한 계시로 여겨지기 때문에 이러한 분류와는 별개로 간주된다. 무슬림들은 꾸란을 영원하며, 그 누구도 그 스타일을 흉내 낼 수 없다고 믿는다. 이러한 믿음을 ''이자즈''라고 한다.[4]
''이자즈'' 교리는 아랍 문학에 제약을 가하기도 했다. 이슬람은 시를 쓰는 것을 허용하지만, 꾸란은 신성 모독, 음란, 죄악된 행위를 칭찬하거나 꾸란에 도전하는 시는 금지한다고 명시한다.[4]
꾸란 외에도 무함마드의 언행과 행적을 기록한 ''하디스'' 역시 중요한 문학적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기록을 ''순나''라고 하며, ''사히흐''로 여겨지는 것들은 하디스에 수집된다. 무슬림 이븐 알-하자즈와 무함마드 이븐 이스마일 알-부하리의 저서가 대표적인 하디스 모음집이다.[4]
꾸란 연구의 또 다른 중요한 장르는 ''타프시르'' (주석)이다. 종교 관련 저술에는 설교와 헌신적인 작품, 그리고 10세기에 ''나흐즈 알-발라가'' (''웅변의 정점'')로 수집된 알리의 말씀이 포함된다.[4]
아바스 왕조 시대는 이슬람 황금기의 시작으로, 바그다드의 지혜의 집은 알자히즈와 오마르 카이얌 등 수많은 학자와 작가들을 배출했다.[7][8] ''천일야화''의 여러 이야기들은 아바스 칼리프 하룬 알라시드를 등장시킨다.[9]
9세기에 알자히즈는 산문 문학에 풍자를 도입했다. 그는 심각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재미있는 일화나 역설적인 관찰을 통해 흥미를 더하는 풍자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45] 예를 들어, 그는 동물학 관련 작품에서 긴 남성의 음경 크기에 대한 선호도를 풍자하며, "음경의 길이가 명예의 표시라면, 노새는 쿠라이시 (의 존경받는 부족)에 속할 것이다."라고 썼다.[46]
이슬람의 확산에 따라, 코란은 아랍어 경전으로 읽혔고, 다양한 민족들이 아랍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코란을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 바스라와 쿠파에서는 아랍어 연구도 이루어졌다. 정통 칼리파와 우마이야 왕조 시대를 거치면서 아랍어권은 페르시아와 이집트로 확대되었고, 아프리카로 침투하였다. 우마이야 왕조 시대는 유목민 시대의 표현을 유지하였지만, 압바스 왕조가 되면서 도시화가 진행되고, 시를 비롯한 문예 장르가 증가하였다. 산문 세계에는 알자히즈가 등장하여, 박물지적인 대작부터 『구두쇠들의 책』과 같은 비평까지 왕성하게 집필하였다. 코르도바의 우마이야 왕조에 의해 이베리아 반도에서도 아랍어 문예가 활발해졌고, 알안달루스라고 불린 지역에서는 이븐 자이둔 등이 활약하였다.
3. 2. 1. 서사 문학
아랍 서사 문학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은 『천일야화』이다. 이는 아랍 문학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이며, 아랍 문화에 대한 비아랍인들의 인식에도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천일야화』는 일반적으로 아랍 서사 문학 장르에 속하며, 짧은 이야기나 에피소드들이 긴 이야기로 엮어진 모음집이다. 기존에 남아 있는 판본들은 대부분 14세기 이후에 비교적 늦게 기록되었지만, 많은 이야기들이 그 이전에 수집되었으며, 원래 이야기들 중 상당수는 이슬람 이전 시대의 것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모음집에 포함된 이야기의 종류에는 우화, 속담, 지하드 또는 신앙 전파에 관한 이야기, 유머러스한 이야기, 도덕적인 이야기 등이 있다.『마카마(maqama)』는 산문과 시의 경계를 넘나드는 운문(rhymed prose)의 형식일 뿐만 아니라, 허구와 비허구의 중간 영역에 속하기도 한다. 실제 상황을 각색한 일련의 짧은 이야기를 통해 다양한 생각들이 제시된다. 알하마다니(Al-Hamadhani)는 마카마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그의 작품은 아부 무하마드 알 카심 알 하리리(Abu Muhammad al-Qasim al-Hariri)에 의해 계승되었다. 마카마는 아랍 문학에서 매우 인기 있는 형식이었으며, 17세기와 18세기 아랍어의 쇠퇴기에도 계속해서 쓰인 몇 안 되는 형식 중 하나였다.
옛날부터 카스(Qāṣṣ)나 라위(rāwī)라고 불리는 강사나 이야기꾼이 있었고, 쿠란과 관련된 이야기나 자히리야 시대의 설화를 거리에서 구연하여 사람들을 즐겁게 했다. 전쟁 이야기이기도 한 『델헴마 이야기』와 『바이바르스 이야기』, 『안타라 이야기』, 비련 이야기인 『라이라와 마주누운』도 레퍼토리였다.
아랍어권의 확산에 따라 『판차탄트라』 등 각지의 설화도 아랍어로 번역되었고, 이들을 도입한 집대성으로 『천일야화』가 탄생한다.
3. 2. 2. 철학 소설
이븐 투파일이 저술한 『야쿠잔의 아들 하이이 이야기』는 아랍 문학에서 철학 소설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 철학적 사상을 담은 소설이다. 이븐 투파일은 알가잘리의 ''철학자들의 모순''에 대한 답변으로 최초의 아랍 소설인 ''하이 이븐 야크단''(''철학자 자기 교육자'')를 저술했는데, 이는 홀로 섬에 사는 인물을 중심으로 사회, 종교, 철학을 논한 소설 형식의 철학서였다.[52]3. 2. 3. 여행기
이슬람 왕조 아래에서 아랍어권이 확장되고 교통망이 정비되면서 지리서와 여행기가 많이 만들어졌다. 압바스 왕조의 바그다드에서는 지혜의 집이 건설되어 고대 그리스 문헌이 번역되었고, 천문학과 지리학이 발달하였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지리서와 여행기가 활발하게 제작되었다. 각지에서의 견문을 정리한 여행기도 만들어졌는데, 『볼가 불가르 여행기』를 쓴 이븐 파들란, 그라나다와 시칠리아를 여행한 이븐 주바이르 등이 있다. 특히 이븐 바투타는 판사로서 인도, 실론, 알안달루스, 마그리브를 평생에 걸쳐 돌아다니며 그 광대한 여정의 기록을 『리흘라』로 남겼다.3. 3. 희곡
현대 아랍 희곡은 19세기에 주로 이집트에서 쓰이기 시작했으며, 주로 프랑스 작품의 영향을 받아 모방했다.[32]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아랍 특유의 풍미를 지니고 다른 지역에서도 인정받기 시작했다. 가장 중요한 아랍 극작가로는 타우피크 알 하킴이 있는데, 그의 첫 번째 희곡은 꾸란에 나오는 일곱 잠꾸러기 이야기를 다시 쓴 것이었고, 두 번째 희곡은 "천일야화"의 에필로그였다.[32] 이 지역의 다른 중요한 극작가로는 이라크의 유수프 알 아니와 시리아의 사아달라흐 와누스가 있다.[32]인형극과 수난극은 중세 이슬람 세계에서 인기 있었지만,[50] 실제 연극과 극은 현대에 와서야 아랍 문학에서 눈에 띄는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훨씬 오래된 연극 전통이 있었을 수도 있지만, 정식 문학으로 여겨지지 않았고 대부분 기록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시아파 무슬림들 사이에는 680년 카르발라 전투에서 알-후세인의 삶과 죽음을 묘사한 연극을 공개적으로 공연하는 오랜 전통이 존재한다. 또한 13세기 샴스 알-딘 무함마드 이븐 다니얄이 지은 여러 연극들이 있는데, 그는 기존의 연극들이 진부해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자신의 새로운 작품들을 신선한 소재로 제공한다.[50]
중세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연극 형태는 인형극(손인형, 그림자극, 마리오네트 공연 포함)과 *타지야* (ta'ziya)로 알려진 실제 수난극이었다. *타지야*는 배우들이 이슬람 역사의 에피소드를 재현하는 공연이다. 특히 시아파 이슬람의 연극은 알리의 아들들인 하산 이븐 알리와 후세인 이븐 알리의 *샤히드*(순교)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세속적인 실제 연극은 중세 *아다브* 문학에 기록된 *악라자*(akhraja)로 알려져 있지만, 인형극과 *타지야* 연극보다는 덜 흔했다.[50]
4. 문학 연구
꾸란 해석을 위한 아랍어 연구로 바스라 학파와 쿠파 학파의 문법 학파가 번성하였고, 수사학도 발달하여 문학적 성과도 나타났다. 대표적인 문법학자로는 『문법서』를 저술한 시바와이히, 『격변화의 개념』을 쓴 이븐 히샴, 『수사의 비밀』을 저술한 알주르자니, 시로 쓰인 문법서 『알피야』를 지은 이븐 말릭 등이 있다.
시학에서는 이븐 쿠타이바가 최초의 시론을 전개했고, 알 칼릴 이븐 아흐마드 알 파라히디는 운율학을 확립했다. 이븐 무카파()는 동물 우화 『카리라와 딤나』와 논고 『알 아다브』를 통해 아랍어 산문 확립에 기여했다. 바스라 학파 출신 알 칼릴리는 수사 기교를 활용하여 산문 장르인 마카마 양식을 완성했다.
출판 관련 문헌 목록으로는 9세기 바그다드에서 서점을 운영했던 이븐 나딤의 『피흐리스트(목록서)』와 17세기 오스만 제국 문인 카팁 첼레비의 『서지총람』이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96]
5. 여성 문학
이슬람 이전 시대의 여성 문학은 주로 ''마라티야(marathiya)''라고 불리는 비가(悲歌) 장르에 한정되어 있었다.[82] 7세기에는 알-한사와 라이라 알-아크야리야 같은 여성 시인들이 등장했는데, 이들은 주로 ''리타(ritha)''라는 비가를 썼다. 이는 당시 사회가 여성에게 허용했던 문학 형식으로 보인다. 그러나 우마이야와 압바스 시대에는 연애 서정시 또한 여성 시의 중요한 장르였다. 전문적인 노래를 부르는 여종(qiyan, 단수 quayna)은 연애 노래(ghazal)를 불렀는데, 알-자히즈(al-Jahiz)는 숙련된 가수가 4,000곡의 레퍼토리를 가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83] 유명한 압바스 가수로는 이난(Inan), 아리브 알-마문이야(Arib al-Ma'muniyya), 파들 아샤이라(Fadl Ashsha'ira)가 있었다.[83] 하룬 알 라시드의 이복동생인 울라이야 빈트 알-마흐디와 바스라(Basra)의 신비주의자이자 시인인 라비아 바스리도 시적 재능으로 알려졌다.[83]
중세 무어인 스페인에서는 왈라다 빈트 알-무스타크피가 수피(Sufi) 시를 썼고, 하프사 빈트 알-하즈 알-루쿠니야와 나주 알-가르나티야 빈트 알-쿨라이이야(Nazhun al-Garnatiya bint al-Qulai’iya) 같은 여성 작가들이 있었다.
맘루크 시대에는 수피 대가이자 시인인 아이샤 알-바우니야가 300편이 넘는 시를 썼다.[83]
19세기와 20세기 초, 마리아나 마라시(Maryana Marrash), 메이 지아데(May Ziadeh), 메리 아자미(Mary 'Ajami)는 문학 살롱을 열어 여성들의 문학 활동을 지원했다.[86] 자이나브 파와즈(Zaynab Fawwaz), 아이샤 타이무르(Aisha Taymur), 말락 히프니 나시프(Malak Hifni Nasif), 안바라 살람 칼리디(Anbara Salam Khalidy), 살마 알말라이카(Salma al-Malaika) 등도 이 시대의 주요 여성 작가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직 알말라이카(Nazik Al-Malaika)는 자유시 운동을 시작한 인물 중 하나로, 아랍 문학 비평에도 기여했다.[88] 파드와 투칸(Fadwa Touqan), 라밥 알카지미(Rabāb al-Kāẓimī), 잘릴라 리다(Jalīla Riḍa), 살마 흐드라 자이유시(Salma Khadra Jayyusi), 라미아 아바스 아마라(Lami'a 'Abbas 'Amara) 등도 주요 시인으로 활동했다.
최근에는 수하이르 알칼라마위(Suhayr al-Qalamawi), 울파트 이들리비, 라이라 바알바키 등 많은 여성 작가들이 등장했다. 자이나브 알가잘리(Zaynab al-Ghazali), 나왈 엘사다위(Nawal el-Saadawi), 파티마 므르니시(Fatema Mernissi) 등은 논픽션을 통해 여성의 권리와 사회 문제를 다루었다.[90] 알제리에서는 "부깔라(Būqālah)"라는 구전 문학이 독립 전쟁 중 국가 정체성의 상징이 되었다.[91]
현대 아랍 여성 작가들은 하난 알-셰이크(Hanan al-Shaykh), 살와 알 네이미(Salwa Al Neimi), 주마나 하다드(Joumana Haddad), 아시아 제바르(Assia Djebar), 아흐다프 수에이프(Ahdaf Soueif), 야스민 엘 라시디(Yasmine El Rashidi) 등과 같이 성, 매춘, 동성애 등 사회적으로 논의되지 않던 주제들을 다루며, 모나 엘타하위(Mona Eltahawy), 바스마 압델 아지즈(Basma Abdel Aziz)와 같이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해 활동가 역할을 하는 경우도 많다.
6. 주요 작가 및 작품
- 한사르(575년 - 645년)
- 마알리(973년 - 1057년)
- 자마흐샤리(1074년 - 1143년)
- 이븐 쿠즈만(1078년 - 1160년)
- 마이 지야다(1886년 - 1941년)
- 타우피크 알하킴(1898년 - 1987년)
- 알랄 파시(1910년 - 1974년)
- 나기브 마흐푸즈(1911년 - 2006년) - 1988년 노벨 문학상 수상
- 파두아 투칸(1917년 - 2003년)
- 에밀 하비비(1922년 - 1996년)
- 니자르 까반니(1923년 - 1998년)
- 바드르 샤키르 알사야브(1926년 - 1964년)
- 유수프 이드리스(1927년 - 1991년)
- 압둘 라흐만 무니프(1933년 - 2004년)
- 호다 바라캇(1952년 - )
- 이브라힘 나스랄라(1954년 - )
- 알라 알아스와니(1957년 - )
- 라자 알렘(1970년 - )
- 하산 블라심(1973년 - )
- 아흐마드 사다위(1973년 - )
- 조카 알하르티(1978년 - )
- 라자 알사니아(1981년 - )
참조
[1]
서적
Religion and Law
1990
[2]
서적
[3]
서적
The emergence of Arabic poetry: from regional identities to Islamic canoniz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24
[4]
서적
تاريخ الأدب العربي
https://books.google[...]
DMC
2014-01-01
[5]
백과사전
Ayyām al-ʿArab
https://referencewor[...]
Brill
2024-02-19
[6]
웹사이트
الوثائقية تفتح ملف "اللغة العربية"
https://doc.aljazeer[...]
2019-09-08
[7]
웹사이트
Centuries in the House of Wisdom
http://www.theguardi[...]
2004-09-23
[8]
서적
The House of Wisdom: How Arabic Science Saved Ancient Knowledge and Gave Us th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Penguin
2011-03-31
[9]
웹사이트
Hārūn al-Rashīd {{!}} ʿAbbāsid caliph
https://www.britanni[...]
[10]
서적
Sephardic and Mizrahi Jewry: From the Golden Age of Spain to Modern Times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05-06
[11]
서적
The guide for the perplexed
http://hdl.handle.ne[...]
London
1919
[12]
서적
Jami' al-Qarawiyyin: al-Masjid wa'l-Jami'ah bi Madinat Fas (Mausu'ah li-Tarikhiha al-Mi'mari wa'l-Fikri). Al Qaraouiyyine: la Mosquée-Université de Fès (histoire architecturale et intellectuelle)
Dar al Kitab ab Lubnani
1972
[13]
웹사이트
دلائل الخيرات
https://www.wdl.org/[...]
1885
[14]
웹사이트
دلائل الخيرات
https://www.wdl.org/[...]
1885
[15]
웹사이트
قراصنة المتوسط الذين نقلوا كنوز العربية لأوروبا.. رحلة مكتبة مولاي زيدان المغربي إلى الإسكوريال الإسباني
https://www.aljazeer[...]
[16]
학술지
Mamluk Literature (MSR VII.1, 2003)
https://knowledge.uc[...]
2003
[17]
백과사전
Novel, Arabic
http://dx.doi.org/10[...]
[18]
서적
1976
[19]
서적
[20]
서적
1992
[21]
웹사이트
Rifa'a Rafi' al-Tahtawi: France as a Role Model - Qantara.de
https://en.qantara.d[...]
2009-09-15
[22]
학술지
The Call of Communication: Mass Media and Reform in Interwar Morocco
https://brill.com/vi[...]
2018-06-25
[23]
서적
مشاريع الإصلاح السياسي في المغرب في القرنين التاسع عشر
https://books.google[...]
ktab INC.
2013-01-01
[24]
서적
1995
[25]
웹사이트
مجلة الكلمة - المدرسة الحديثة.. جيل ما بعد الريادة
http://www.alkalimah[...]
[26]
서적
1988
[27]
서적
1977
[28]
웹사이트
مكتبة البوابة: أهم 10 كتب للأديب المصري ثروت أباظة {{!}} البوابة
https://article.alba[...]
[29]
웹사이트
عائلة أباظة: تاريخ طويل وأثر عميق في مصر
https://sqawoa.com/a[...]
2024-01-03
[30]
서적
[31]
서적
Arab Women Novelists: the Formative Years and Beyon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32]
서적
[33]
서적
Medieval Cuisine of the Islamic Worl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34]
웹사이트
Ḵusraw ī Kawādān ud rēdak-ēw
http://www.iranicaon[...]
[35]
문서
Auchterlonie
[36]
서적
Makdisi
[37]
서적
Van Gelder
[38]
웹사이트
L'art du Livre arabe
http://expositions.b[...]
2022-09-22
[39]
논문
The Unique Necklace (Al-ʿIqd al-Farīd), Vol. 1, by Ibn ʿAbd Rabbih and Roger M. A. Allen.
2011-04-01
[40]
서적
Hamori
[41]
서적
Von Grunebaum
[42]
서적
Pinault
[43]
서적
Pinault
[44]
서적
Pinault
[45]
서적
Bosworth
[46]
서적
Marzolph, van Leeuwen & Wassouf
[47]
서적
Bosworth
[48]
서적
Bosworth
[49]
서적
Webber
[50]
서적
Moreh
1986
[51]
웹사이트
Othello: Seen Through a Moroccan Lens
https://www.moroccow[...]
2019-05-18
[52]
서적
McGinnis & Reisman
[53]
서적
Hassan
[54]
서적
Glassé
[55]
서적
Wainwright
[56]
서적
Russell, ed.
[57]
서적
Russell, ed.
[58]
서적
Russell, ed.
[59]
서적
Toomer
[60]
서적
Irwin
[61]
서적
Irwin
[62]
서적
Irwin
[63]
서적
Hamori
[64]
서적
Pinault
[65]
서적
Irwin
[66]
서적
Hamori
[67]
서적
Pinault
[68]
웹사이트
Arab teens and Young Adult literature: The new wave - Qantara.de
https://en.qantara.d[...]
2020-11-12
[69]
웹사이트
YA
https://web.archive.[...]
2020-11-12
[70]
웹사이트
Young Readers
https://www.libraryo[...]
2022-09-30
[71]
웹사이트
Series Brings Alive Classical Arabic Texts for Young Readers
https://www.al-fanar[...]
2020-10-16
[72]
논문
Arabic Children's Literature Today: Determining Factors and Tendencies
https://www.cambridg[...]
2011
[73]
서적
Arab World
Oxford UP
2006
[74]
서적
Thunderbird Book One By Sonia Nimr, translated by M. Lynx Qualey
https://utpress.utex[...]
University of Texas Press
2022-10-25
[75]
논문
Arabic Books for Teens
2014
[76]
논문
Ploughing the Field: YA in Translation
2021-11-12
[77]
웹사이트
ArabKidLitNow!
https://arabkidlitno[...]
[78]
서적
Arts: Poets and Poetry: Arab States
Brill
2003-2007
[79]
서적
Pioneering Female Authors in Egypt and the Levant: An Introduction into the Origins of the Arabic Novel
https://web.archive.[...]
Háskólaprent
2013
[80]
서적
Women Poets
https://web.archive.[...]
Routledge
2006
[81]
서적
Classical Poems by Arab Women: A Bilingual Anthology
books.google.co.uk/b[...]
Saqi Books
1999
[82]
서적
Women Poets
https://web.archive.[...]
Routledge
2006
[83]
서적
Women Poets
https://web.archive.[...]
Routledge
2006
[84]
서적
Routledge
2006
[85]
서적
The Warrior Women of Islam: Female Empowerment in Arabic Popular Literature
Tauris
2014
[86]
논문
Arab women writer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01-14
[87]
서적
Arts: Poets and Poetry: Arab States
Brill
2003-2007
[8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Iraq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4-03-18
[89]
뉴스
Friday Finds: The Poetry of Underappreciated Saniyah Saleh
https://arablit.org/[...]
2017-06-23
[90]
웹사이트
Gender and identity reflected in the works of Nawāl Al-Sa'adāwī and Samīḥah Khrais
https://core.ac.uk/d[...]
[91]
논문
Algerian Women's Buqalah Poetry: Oral Literature, Cultural Politics, and Anti-Colonial Resistance
2014
[92]
웹사이트
Headscarves and Hymens: Why the Middle East Needs a Sexual Revolution by Mona Eltahawy – review
https://www.theguard[...]
2015-06-12
[93]
웹사이트
Basma Abdel Aziz: 'The Worst Thing Is That Publishers Are Scared, Too'
https://arablit.org/[...]
2015-12-29
[94]
서적
Arts: Poets and Poetry: Arab States
Brill
2003-2007
[95]
웹사이트
Al Mutanabbi and the Arrogance Within: The Life of a Great Arabic Poet
https://insidearabia[...]
2020-09-12
[96]
웹사이트
King Faisal Prize {{!}} Professor Abd Allah Al-Tayyeb
https://kingfaisalpr[...]
[97]
논문
Languag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8-31
[98]
서적
The Introduction of Arabic Learning into England
British Library
1997
[99]
간행물
The Introduction of Arabic Learning into England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